전세자금이 넉넉하지 않은 청년이나 신혼부부에게는 ‘청년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이나 ‘LH 전세임대주택’ 같은 정부지원 제도가 큰 힘이 됩니다. 그런데 만약 현재
청년버팀목을 이용 중인데, LH 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에 신청하려고 한다면?
기존 대출금(예: 5천만 원)을 어떻게 처리하고, 새로운 주택에 어떻게 들어갈 수 있을까요?
📌 질문 요약
- 현재 청년버팀목 대출 중이며 약 5천만 원의 전세보증금이 묶여 있음
- LH 신혼부부 전세임대 신청 예정
- 버팀목 상환 직후 바로 LH 주택 입주 가능한가요?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네, 가능합니다. 다만 “타이밍 조율”이 핵심입니다.
LH 전세임대주택은 임차보증금을 LH가 지원하고, 본인은 일부만 부담하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이 보증금이 실제로 들어가기 전에 기존 전세계약이 해지되어야 하며, 기존 대출(청년버팀목)도 상환 완료</strong된 상태여야만 다음 계약으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 추천 진행 순서
1. LH 전세임대 대상자 선정
LH에 신혼부부 전세임대를 신청하고, 대상자로 선정되면 안내 문자가 옵니다. 이후에는 ‘희망주택 찾기 → 계약 진행’ 단계로 넘어가게 됩니다.
2. 기존 임대계약 해지 준비
청년버팀목 대출을 받고 있던 집의 임대인과 퇴거일을 조율해야 합니다. 대출 상환은 보통 퇴거일 당일 또는 하루 전에 처리되며, 보증금 반환이 함께 이루어집니다.
3. 버팀목 대출 상환 및 퇴거
보증금이 반환되면 대출 전액을 상환하고, 기존 전세계약은 해지됩니다.
4. LH 계약 및 입주
이제 LH 전세임대 계약서를 작성하고, 본인부담금을 납부한 뒤 입주하면 됩니다. 이사날짜는 기존 퇴거일로부터 며칠 여유를 두고 잡는 것이 좋아요.
❗ 주의사항
- 버팀목 대출과 LH 전세임대는 중복 불가 – 반드시 기존 대출 먼저 정리
- 기존 보증금 반환이 늦어지면 → LH 계약도 지연될 수 있음
- 버팀목 상환 → LH 계약 → 입주 순서를 유의해서 계획 세워야 함
💡TIP: 기존 임대인과 퇴거일 조율 시 “보증금 반환일 = 대출 상환일”로 지정해두면 절차가 더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어요!
💡 마무리하며
청년버팀목에서 LH 전세임대로의 전환은 정부 지원 간 갈아타기 개념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두 대출이 동시에 존재할 수는 없기 때문에, 기존 대출 해지 → 신규 계약 체결 간 공백기간 조율이 정말 중요합니다.
시간적으로 여유를 두고 LH 측과 상담하거나, 기존 임대인과 퇴거일 협의 시 이 모든 사정을 솔직하게 이야기하시면 보다 원활한 이사가 가능해요.
혹시 LH 전세임대 신청 계획이 있으시다면, 지금부터라도 기존 계약 해지 계획을 세워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청년버팀목상환 #LH신혼부부전세임대 #전세임대입주절차 #보증금전환 #정부지원주택 #전세이사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