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방 구하는 게 이렇게 어려운 일일 줄이야...” 첫 자취, 첫 전세 계약, 혹은 사회 초년생으로 처음 집을 구하는 과정은 막막하기만 합니다. 오늘은 그런 분들을 위해, 처음 집을 구할 때 꼭 알아야 할 8단계 과정을 쉽고 상세하게 알려드릴게요!
1️⃣ 예산·지역·기간 정하기
무작정 집을 찾기보다, 먼저 내가 원하는 조건을 정리해야 해요.
- ✔ 예산: 전세 vs 월세 vs 반전세
- ✔ 위치: 직장·학교와 거리, 교통
- ✔ 희망 입주일: 당장 vs 한 달 뒤 등
2️⃣ 전세, 월세, 반전세 차이 정리
구분 | 보증금 | 월세 | 장점 | 단점 |
---|---|---|---|---|
전세 | 높음 | 없음 | 월 지출 없음 | 초기 자금 부담 큼 |
월세 | 낮음 | 높음 | 입주 쉬움 | 고정 비용 지속 |
반전세 | 중간 | 소액 | 타협형 | 두 부담 모두 있음 |
3️⃣ 방 보기 전 준비물
- 🪪 신분증
- 📒 체크리스트 (곰팡이, 누수, 채광 등)
- 📷 휴대폰 (사진 촬영 및 소음 체크용)
4️⃣ 부동산 앱 & 현장 방문
먼저 직방, 다방, 네이버 부동산 앱으로 탐색해보세요. 마음에 드는 매물은 캡처해서 부동산에 보여주면 빠르게 대응이 가능합니다.
※ 꼭 부동산 중개사 자격증 있는 곳을 방문하세요!
5️⃣ 방 보기: 하루에 3~5곳 추천
방은 여러 군데를 비교해보는 게 좋아요.
- ☀️ 햇빛 잘 드는지 확인
- 🚰 보일러·수도 작동 확인
- 🔇 주변 소음 체크 (도로, 학교, 공사장 등)
6️⃣ 계약 전 확인사항 (중요!)
등기부등본 열람으로 집주인 명의 확인 필수!
- 📄 [인터넷 등기소](https://www.iros.go.kr) 이용
- 🔎 전입세대 열람: 기존 세입자 확인
- 💼 특약사항 작성: 수리 조건, 가구 포함 여부 등
7️⃣ 계약서 작성 + 계약금 지불
계약은 신중하게, 반드시 계약서 3부 작성합니다.
- 💰 계약금: 전체 금액의 10% 수준
- 📌 특약사항 서면으로 꼭 명시
8️⃣ 전입신고 + 확정일자 = 내 보증금 지키기
계약 후 바로 전입신고 + 확정일자 받기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 🏢 주민센터 or 정부24 이용
- 💡 확정일자가 있어야 전세금 보호 가능
✅ 마무리 Tip
처음 방을 구할 때는 정말 헷갈리고 무서울 수 있어요. 이럴 땐 부모님이나 경험자와 함께 움직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 여러분은 첫 집을 구할 때 어떤 부분이 가장 어려웠나요?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다양한 경험이 큰 도움이 됩니다 😊
#집구하기 #전세팁 #월세계약 #전입신고 #확정일자 #청년자취 #1인가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