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부터 헬스장 이용료도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되면서, 많은 분들이 이 제도를 활용하고자 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조건 하나! 바로 ‘정부에 등록된 헬스장’에서만 소득공제가 가능하다는 사실입니다. 그럼 어디서 확인하고, 얼마나 많은 헬스장이 참여하고 있으며, 미등록 헬스장을 이용하면 어떤 불이익이 있을까요?
📌 목차
- 1. '문득문득 사이트'란?
- 2. 등록된 헬스장 확인 방법
- 3. 현재 참여한 헬스장 수
- 4. 미등록 헬스장 이용 시 불이익
- 5.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요약
1. '문득문득 사이트'란?
'문득문득'은 문화체육관광부가 문화비 소득공제를 위해 만든 BI 브랜드입니다. 해당 플랫폼을 통해 소득공제 대상인 체육시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식 사이트명: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
운영기관: 한국문화정보원
2. 등록된 헬스장 확인 방법
-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에 접속
- ‘사업자 찾기’ 메뉴 선택
- 지역 또는 헬스장 이름 입력
- ‘체력단련장’ 또는 ‘수영장’으로 필터 적용
등록된 헬스장은 BI 현판(문득문득 로고)이 부착되어 있어 현장에서도 쉽게 확인 가능합니다.
💡 잠시 쉬어가기: 중간 광고 위치 추천
이런 정보는 미리 알아두면 실생활에 큰 도움이 됩니다.
아래 내용도 함께 참고해보세요 😊
3. 현재 참여한 헬스장 수
2025년 7월 기준, 전국적으로 다음과 같은 체육시설이 등록되었습니다.
- 민간 헬스장: 약 16,000곳
- 공공 체육시설: 약 1,300곳
- 총합: 약 17,300여 곳
지자체에 신고된 약 13,000여 개 민간시설 중 절반 이상이 등록을 마쳤거나 진행 중입니다.
4. 미등록 헬스장을 이용하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연말정산 시 카드 사용액에서 제외되며, 환급 혜택이 전혀 주어지지 않습니다.
특히 개인 PT, 필라테스, GX 프로그램은 별도로 소득공제 대상 제외입니다. 순수한 ‘시설 이용료’만 해당됩니다.
5.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요약
항목 | 내용 |
---|---|
공제 대상 | 연 7,000만원 이하 근로자 |
공제율 | 사용액의 30% |
공제 한도 | 문화비·교통비 포함 연간 최대 300만원 |
제외 항목 | PT, 필라테스, 강습료 등 |
✅ 마무리: 꼭 등록 여부 확인하세요!
헬스장 등록 여부는 ‘문득문득 사이트’에서 몇 번의 클릭만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금 혜택을 놓치지 않으려면, 헬스장 회원권 등록 전에 반드시 체크하세요!
지금 바로 확인해보고, 운동도 하고 환급도 받는 똑똑한 절세 생활을 시작해보세요 💪
🔗 함께 보면 좋은 글
#소득공제 #헬스장공제 #문득문득사이트 #헬스장세금환급 #2025연말정산